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방법
집을 전세나 월세로 계약할 때 꼭 해야 하는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. 좀 번거롭더라도 지키지 않으면 2025년 6월부터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기간 및 신고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[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란?]
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는 전세나 월세로 집을 빌릴 때, 일정 금액 이상의 계약을 하면 꼭 신고해야 하는 제도입니다. 2021년 6월부터 시행됐고, 신고를 하면 세입자와 집주인 모두의 권리가 더 잘 보호됩니다.
신고 대상과 예외
신고해야 하는 경우는 보증금이 6,000만 원을 넘거나, 월세가 30만 원을 넘는 계약입니다. 아파트, 단독주택, 오피스텔 등 대부분의 주거용 건물이 포함됩니다. 반면, 보증금 6,000만 원 이하이면서 월세 30만 원 이하인 계약이나 임대료가 변동 없는 자동 연장 계약은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.
신고 방법과 기한
계약을 맺은 날로부터 30일 안에 신고해야 하며, 동주민센터 방문이나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임대인이나 임차인 중 한 명만 신고해도 인정됩니다.
신고하지 않으면?
2025년 6월부터 신고를 하지 않으면 최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, 반드시 기한 내 신고해야 내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.